『충무공 이순신 선무공신교서』공개
문화재청(청장 兪弘濬)에서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에게 내린 「선무공신교서」를 현재 소장자로부터 기증받았으며, 조사 및 지정, 보존·복원 등을 거쳐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라고 발표하였다.
「선무공신(宣武功臣)」은 임진왜란이 끝난 뒤인 1604년, 전쟁에 공훈이 있는 장수 18명에게 내린 공신 칭호로서 1등 3명(이순신, 권율, 원균)을 포함해 2등 5명, 3등 10명이다. 「선무공신교서」는 이들 선무공신 개인의 공적과 수여하는 상급(賞給)을 기록한 것으로써 선무공신이 비록 18명이나 그 공적과 상급이 달라 교서 내용 또한 제각각으로 각 교서는 유일본인 셈이다.
선무공신교서의 소재가 확인된 것은 국민성금으로 일본에서 구입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된 「김시민 선무공신교서」 등 6건뿐이며, 선무공신 1등의 경우 원균의 공신교서만이 보물 제1133호로 지정되어 있던 바, 이번 기증(공개)으로 선무공신교서는 모두 7건으로 늘어났으며, 1등 또한 원균의 것에 이어 두 번째가 된다.
선무공신교서의 소장자로서 충무공의 15대 후손이기도 한 이재왕씨는 이 교서는 ‘문화재’라기보다 조상의 ‘소중한 유품’으로써, 선조의 유품을 소장하는 것도 의미가 있겠으나 충무공 유물을 관리하는 현충사관리소에 이를 기증함으로써 공신교서의 의미를 국민들과 함께 나누고, 국가 관리를 통해 안전하게 전해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기증을 결심하게 되었다고 한다.
공신교서를 기증받은 현충사관리소에서는 기증 후 관련 전문가를 통한 현황조사를 마쳤고, 현재 절첩 형식으로 된 것을 원래 형태인 두루마리 형태로 원형복원하고, 국립고궁박물관 개관 때 일반에게 공개할 예정이며, 이후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 하고 현충사관리소에 ‘이순신장군기념관’이 건립되면 여기에 영구 소장·전시할 계획이다.
붙임 : 1. 충무공 이순신 선무공신교서(사진)
2. 충무공 이순신 선무공신교서 내용(국역) 1부. 끝.
(아래 사이트 참고)
http://cha.korea.kr/cha/jsp/cha1_branch.jsp?_action=news_view&_property=b_sec_1&_id=155231945&currPage=1&_category=
<관련 언론보도>
[세계일보] 충무공 이순신 공신교서 첫 공개
15대 후손 이재왕씨 기증, 일등공신 공적·상훈 기록
◇유홍준 문화재청장이 23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충무공 이순신 선무공신교서를 공개하면서 그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선조가 충무공 이순신(1545∼1598) 장군을 일등공신에 책봉하면서 공적과 상훈을 기록한 ‘선무공신교서(宣武功臣敎書)’가 공개됐다.
충무공 공신교서는 1928년 조선사편수회가 사진 촬영을 한 적은 있으나 실물이 공개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문화재청은 충무공 15대 후손 이재왕(63)씨가 기증한 공신교서를 23일 공개했다.
애초 덕수 이씨 종가에서 보관돼 오던 충무공 공신교서는 광복 이후 행방이 묘연했으나, 2005년 한 인터넷사이트에 컬러사진이 올라온 것이 계기가 돼 지난 6월 검찰 수사 결과 이씨가 소장하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
이씨는 “충무공 교서의 의미를 국민과 함께 나누고, 국가 관리를 통해 안전하게 전해지길 바라는 마음에서 (현충사관리소) 기증을 결심했다”고 말했다.
문화재청은 관리 편의를 위해 절첩본으로 변형된 충무공 교서를 두루마리 형태로 원형 복원한 뒤 오는 11월 충남 아산 현충사관리소 내 ‘이순신장군기념관’ 개관에 맞춰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선무공신교서는 조선 선조가 1604년 왜군을 물리친 장수 18명을 선무공신으로 책봉한 뒤 그 공적과 상훈 등을 기록한 문서이다.
공적에 따라 3등급으로 나뉘는데, 일등공신은 이순신·권율·원균 3명이며, 이등공신은 김시민·권응수 등 5명, 삼등공신은 이광악·이운룡 등 10명이다. 현존이 확인된 선무공신교서는 원균과 김시민, 권응수, 이광악, 이운룡 등 6건이며 충무공 교서를 제외한 5건이 보물로 지정됐다.
한석봉체로 비단에 기록된 충무공 교서에는 “그 공훈이 국운을 회복함에 으뜸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면서 “종묘에 이름을 새겨서 여러 신하들보다 으뜸이 되게 하여 이름을 드날리고, 채색으로 초상화를 그려 여러 현인들의 첫머리에 공로를 기록한다” 등의 내용이 적혀 있다.
▷글 : 송민섭 기자 stsong@segye.com
▷출처 : 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510&PCode=0007&DataID=200708231705000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