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문시각의 전달절차
가. 보루각 罷漏(오전 4시, 33회 타종) → 경회루 남문 금고(金鼓) → 월화문 금고(金鼓) → 근정문 금고(金鼓) → 광화문 대종고(大鐘鼓·문루2층, 수종장 1인, 서운관생 2인, 33회 타종) → 平明(5시~6시) 開
2. 개문 예비절차와 수문장의 궐내 정렬대기
가. 광화문 대종고를 33번 타종하면
나. 개문 관리의 준비 및 수문장 교대절차를 준비한다.
다. 승정원 주서가 승지로부터 궁성문의 자물쇠를 받는다.
라. 승정원 주서가 도총부당하, 액정서사약과 함께 광화문으로
이동 준비한다.
마. 수문장, 요령장, 수종장이 숙배하고 병조로부터 패와 군호를 받는다.
바. 수문장은 요령장, 수종장과 함께 군사를 이끌고 광화문으로 이동을
준비한다.
사. 수문군(갑사·정병·대졸) 70명, 요령군(정병 2),
수종군(서운관생 2, 기수 4)
아. 광화문 밖에서는 숙직 요령장이 요령군과 함께 대기 정렬한다.
자. 광화문 문루에서는 숙직 수종장과 수종군이 문루에서 내려와 대기 정렬
차. 취타군이 행진을 준비한다.
3. 개문 관리 및 수문장의 교대행군
가. 平明(5시)에 초엄을 찬정하면
나. 취타대를 앞세워 중앙 관리 및 수문장 수문 군사들이 광화문에 당도
다. 승정원 주서, 도총부당하, 액정서사약이 광화문 앞에 당도 한다.
라. 요령장, 수종장 역시 휘하 군사들을 인솔하고 함께 광화문에 당도한다.
4. 수문장 및 수종장의 교대의식
가. 중엄(북)을 치면
나. 교대 수문장은 군호를 응대하고 수문장 패를 확인한 후에 서로 군례를 행한다.
다. 지휘봉인 등채를 양손으로 잡고 수평으로 들어 상호의 경례를 한다.
라. 군례를 마치면 출문부, 궤함의 민원사항 등의 당직 업무를 인수인계 한다.
마. 업무를 인수인계 한 후에는 수문장과 수문군의 교대절차를 행한 후 정렬 대기 한다.
바. 교대 수종장은 수종장 패를 확인한 후에 서로 군례를 행한다.
사. 지휘봉인 등채를 양손으로 잡고 수평으로 들어 상호의 경례를 한다.
아. 군례를 마치면 교대 수종장은 광화문의 2층 문루로 올라가 근무를 선다.
자. 업무를 인수 인계한 수종장과 수종군은 교대절차를 행한 후 정렬 대기한다.
5. 궁성문 개폐와 요령장 교대
가. 삼엄(종)을 찬정하면
나. 승정원 주서, 도총부 당하관, 사약이 약시함의 자물쇠를 꺼내 함께 궁성문을 연다.
다. 문이 열리면 문밖에서 대기중인 요령장이 문안으로 들어온다.
라. 교체 요령장과 서로 요렬장 패를 확인한 후 서로 군례를 행한다.
마. 군례를 마치면 업무를 인수인계 한 후 요령군의 교대절차를 행한 후 정렬 대기한다.
바. 요령군의 교대절차가 끝나면 숙직군이 대오를 정렬하여 퇴장을 준비한다.
6. 교대 후 행진 및 퇴장
가. 취타대의 악이 울리면
나. 숙직 수문장은 교대군를 인솔하고 퇴장한다.
* 관리자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5-10-27 0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