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 문화 연구원 (2006 ~ 2023)
제목 : 제27회 갈라파고스 콘텐츠 포럼안내
이름 : 관리자
등록일 : 2014-02-26 10:18:53

제27회 갈라파고스 콘텐츠 포럼안내


2014년 새해가 시작되었습니다.
올 한해도 항상 건강하시고, 신나고 행복한 일로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갈라파고스도 새해 더욱더 풍성하고 다양한 콘텐츠 이야기를 통해 재미와 의미를 찾고 나누며 소통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올해 첫 발표인 제27회 갈라파고스 콘텐츠 포럼에서는 프랑스에서 인지언어학을 전공하신 최인령선생님을 모시고 19C 후반기 프랑스의 시와 음악, 그리고 그림을 대상으로 ‘인지이론과 환기시학’ 에 대한 말씀을 듣고 토론하고자 합니다.


최근 인지과학을 비롯한 각 분야에서 인간의 기억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습니다. 특히 인지주의에 입각하여 기억을 상징적으로 불러오는 환기시학은 시와 음악, 그리고 회화를 해석하는 전략과 차이점 뿐 아니라, 우리 사회와 문화의 원활한 소통 가능성을 탐색하는데도 일정한 의미를 던져 주리라 기대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2014. 1. 9
                                         Galapagos 포럼운영자 심승구

▮ 1월 콘텐츠포럼 안내

* 주제 : 인지이론과 환기시학
* 일시 : 2014년 1월 18일(토) 14:00-18:00
* 장소 : 서울연극센터 (혜화역 4번출구)

1. 발표 (14:00-16:00)
주 제 : 인지이론과 환기시학 - 프랑스 19세기 후반기 시, 음악, 그림을 중심으로 -
발표자 : 최인령 (서울여자대학교 연구교수)

* coffee break (16:00~16:20)

2. 자유토론 (16:20~18:00)
진행사회 : 이상빈(한국외국어대 비교문학과 교수)


* 참석여부를 알려주시면 진행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김민옥 : 010-4382-9705 (volver79@naver.com)

<갈라파고스 콘텐츠포럼 주제들>

제1회(2011. 11. 4, 한국체대) : ‘콘버전스와 스토리텔링’
제2회(2011. 12. 2, 홍대 카페) : ‘K-Pop과 대안연구공동체’
제3회(2012. 1. 13. 서울연극센터) : ‘트렌스미디어 콘텐츠와 공연(바비레따)’
제4회(2012. 2. 4, 서울연극센터) : '나꼼수와 애플 스티브 잡사 史에서 한 수 배우기'
제5회(2012. 3. 10, 서울연극센터) : '코무니콜로기와 폴라 익스플레스'
제6회(2012. 4. 7, 서울연극센터) : 콘텐츠포멧과 내 고민을 말해봐
제7회(2012. 5.12. 한국체대) : '다큐멘터리와 저작권'
제8회(2012. 6. 9. 서울연극센터) : '일본문화와 CT기술'
제9회(2012. 7. 21-22 도봉숲속마을) : 하계워크샵 '프랑스와 한류'
제10회(2012. 8. 18. 서울연극센터) : ‘영화와 여행 콘텐츠’
제11회(2012. 9. 1. 서울연극센터) : ‘베를린 도시사와 한국합작영화’
제12회(2012. 10. 6. 서울연극센터) : ‘인터렉티브 미디어와 무형문화의 재현’
제13회(2012. 11. 3. 서울연극센터) : ‘인지과학과 어린이콘텐츠’
제14회(2012. 12. 15. 서울연극센터) : '트랜스휴먼과 문화콘텐츠‘
제15회(2013. 1. 12. 서울연극센터) : '자연-인간-사회관계의 구조화된 체계로서의 기술'과 ‘미디어 트랜드’
제16회 (2013. 2. 2. 서울연극센터) : ‘문화원형과 동서사유의 비교’
제17회 (2013. 3. 9. 서울연극센터) : ‘디지털의 버섯구름과 TV포맷 창작’
제18회 (2013. 4. 13. 서울연극센터) : ‘k-pop의 생산과 유통과 공연문화’
제19회 (2013. 5. 8. 서울연극센터) : ‘과학과 예술, 그리고 영화산업의 미래’
제20회 (2013. 6. 20~21. 국학진흥원) : ‘안동의 선비문화와 전통문화체험’
제21회 (2013. 7. 20. 서울연극센터) : ‘문화다큐에서의 참여관찰과 상호작용’
제23회 (2013. 8. 10. 한국체육대학교) : ‘프랑스 뮤지컬의 이해와 감상’
제23회 (2013. 9. 14. 서울연극센터) : ‘서촌에서 본 주민활동의 가능성 및 과제’
제24회 (2013. 10. 19. 서울연극센터) : ‘Faction 창작을 위한 원천 스토리개발’
제25회 (2013. 11. 23. 서울연극센터) : ‘영화를 통해 본 소통 방법론’
제26회 (2013. 12. 28. 성균관대학교) : ‘일본의 국책영화와 mentality’

“갈라파고스는 복잡다기한 콘텐츠 분야에서 현장과 이론에 대한 소통과 공감, 그리고 상생을 위한 배움의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출발했습니다. 

시공간 속에서 변이하고 생동하는 객체성과 마주치며 생성해 가는 새로운 자기 만들기가 모임의 취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