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무예 연구소 (2003 ~ 2023)
제목 : 아시아 민속놀의 비교연구 학술대회 개최
이름 : 관리자
등록일 : 2008-10-29 21:57:43

 아시아 민속놀이 비교연구 학술대회 

   사람은 일하고 놀고 빌며 살아갑니다. 일과 놀이, 신앙, 의례가 사람들의 기본적인 생활세계입니다. 놀이를 그저 '노는 것'으로 생각하는 이들도 있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놀이는 일 못지않게 힘을 들여 격렬하게 움직여야 하고 거기에는 신앙이나 다름없는 주술적 행위가 갈무리되어 있으며, 시작과 끝에는 의례가 곁들여 있습니다. 민속놀이는 특히 일과 신앙, 의례와 긴밀한 관련이 있습니다. 
   민속놀이일수록 이러한 문화적 연관성은 더 높습니다. 그래도 일이나 신앙, 의례와 달리 '놀이'인 것은 자발적으로 기꺼이 참여하며 자유롭게 재미를 즐기는 까닭입니다. 따라서 놀이는 소비적인 것이나 무목적적인 것이 아니라 일상에 지친 삶을 역동적으로 되살아나게 하고 마음껏 재미를 즐기는 인간해방의 신명풀이 문화입니다. 놀이가 건강하고 창조적인 사회가 훌륭한 문화사회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각종 놀이상품들이 즐비하되 진정한 놀이문화는 메말라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놀이문화 상황에서, 민속놀이의 문화적 전통을 새롭게 포착하는 연구가 긴요합니다. 먼저 아시아 각국 학계에서는 민속놀이를 어떤 시각으로 연구하는지 그 성과를 점검하고, 이어서 구체적인 민속놀이들이 나라마다 어떻게 같고 다른지 분석하여 놀이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함께 논의합니다. 그리고 민속놀이와 현실문화는 어떤 관계 속에 놓여 있는지 다양하고 흥미로운 주제들이 다루어집니다. 회원들의 발표신청이 쇄도하여 프로그램이 차고 넘쳐 개별발표는 끼어들 틈조차 없습니다. 
   학술대회 현장준비는 우리 학회 이사인 전북대학교 김익두 교수께서 맡아 애를 써주셨습니다. 학술대회 현장인 전북대학교는 민속연구의 중심지이며 전주는 예향으로서 멋과 맛의 고장입니다. 민속문화의 고장 전주지역과 민속학의 중심지인 전북대학에서 학술대회를 열게 되어서 무엇보다 뜻 깊게 생각합니다. 전북에서 민속학을 하는 회원들은 벌써부터 '팔 걷어붙이고 마당 쓸고 멍석 깔고 차일 치고 술 거르고 지짐 부치고…' 여러분들을 맞이할 잔치준비를 하고 기다립니다. 
   스스로 즐기면서 하는 일은 무엇이든 놀이입니다. 회원들께서 자발적으로 하는 논문발표는 사실상 발표놀이나 같습니다. 함께 놀이논문 발표놀이를 누리시기 바랍니다.

2008. 10. 24.
비교민속학회장   임 재 해 드림 

   제1일차(11.14.금)

 13:00 -  13:20   등 록
         진행사회 : 김 미 영(총무이사)

 13:20 -  13:25   개회사      비교민속학회장    임 재 해
 13:25 -  13:30   환영사      전북대학교총장    서 거 석

제 1부 아시아 민속놀이 연구의 시각과 전망

         좌장 : 김 익 두(전북대)
 13:30  기조발표: 아시아 민속놀이의 비교연구를 위한 제언
                                ▪발표 : 김광언(인하대)

 14:00  한국 민속놀이 연구의 시각과 전망
                                ▪발표 : 한양명(안동대)
                                ▪토론 : 김종대(중앙대)
 14:30  중국 민속놀이 연구의 시각과 전망
                                ▪발표 : 정연학(국립민속박물관)
                                ▪토론 : 황금희(광주대)
 15:00  일본 민속놀이 연구의 시각과 전망
                               ▪발표 : 윤광봉(일본 히로시마대)
                               ▪토론 : 노성환(울산대)
 15:30  휴 식

제 2부 아시아 민속놀이의 사례 비교

         좌장 : 최 래 옥(한양대)
 15:40  한몽 민속놀이의 비교연구
                                 ▪발표 : 장장식(국립민속박물관)
                                 ▪토론 : 박환영(중앙대)
 16:10  동아시아권에서 줄다리기의 발생과 전개
         -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
                                 ▪발표 : 송화섭(전주대)
                                 ▪토론 : 김미영(한국국학진흥원)
 16:40  민속놀이 관련 정책의 문제와 대안
                                ▪발표 : 이승수(중앙대)
                                ▪토론 : 나승만(목포대)
 17:10  제의로부터 놀이로 -인도네시아 바라족, 중국 흰바지요족의                 
장례에서의 성적 제의와 진도다시래기 아기낳기 놀이의 비교-
                                ▪발표 : 안철상(서강대)
                                ▪토론 : 김월덕(전북대)
 17:40  전북대학교 총장 초청 만찬

 
   제2일차(11.15. 토)


제 3부 민속놀이의 전승현황과 전망

        좌장 : 곽 병 창(우석대)
 09:30  한국 어린이놀이의 지속과 변화에 대한 연구
                                ▪발표 : 이상호(안동대)
                                ▪토론 : 편해문(부산대)
 10:00  줄다리기의 문화콘텐츠 활용방안
                               ▪발표 : 이창식(세명대)
                               ▪토론 : 유동환(호서대)
 10:30  민속놀이의 활용과 문화콘텐츠
                                ▪발표 : 신광철(한신대)
                                ▪토론 : 김진순(코리아루트)
 11:00  휴 식
 11:10  아시아의 격구와 우리 장치기의 관련성 고찰
                                ▪발표 : 정형호(중앙대)
                                ▪토론 : 심승구(한국체육대)
 11:40  현대의 세시풍속과 민속놀이
                                 ▪발표 : 김만태(안동대)
                                 ▪토론 : 구미래(성보문화재연구원)
 12:10  민속놀이의 관광상품화와 재창조 : 반성과 전망
                                ▪발표 : 김달현(고려대)
                                ▪토론 : 서해숙(전남대)


제 4부 민속놀이의 갈래별 전승양상

        좌장 : 하 수 경(전주대)
 14:00  마을굿과 민속놀이의 역동적 전승양상
                                  ▪발표 : 조정현(안동대)
                                  ▪토론 : 이경엽(목포대)
 14:30  진도지역 상례를 통해서 본 의례와 놀이의 연행미학
                                   ▪발표 : 이윤선(목포대)
                                   ▪토론 : 표인주(전남대)
 15:00  집단의례형 길놀이의 기원과 역사
                                  ▪발표 : 남성진(안동대)
                                  ▪토론 : 이영배(전북대)
 15:30  윷놀이의 세시놀이화 과정 일고찰
                                  ▪발표 : 홍순철(한국학중앙연구원)
                                  ▪토론 : 김상섭(강원대)
 16:00  총 평 ································ 최 인 학(인하대)
 16:10  폐 회 ································ 김 용 덕(한양대)